fnctId=bbs,fnctNo=865 RSS 2.0 18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검색어 입력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금사자수한 베갯모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208 첨부파일 0 금사자수한 베갯모이란, 19세기 32.0cm(d) 페르시아는 아케메니드 시대 (559-330 BCE) 이후에 아름다운 고급 직물 생산으로 유명했으며, 또한 비단길을 통해 중국과 활발하게 무역교류를 한 첫 번째 나라였다. 페르시아인들은 기원전 300년까지 누에를 키웠으며, 아마도 그 훨씬 전부터 중국의 견사를 수입하여 고급직물을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페르시아의 직물 도안은 당나라 때 중국의 자수 기술자들의 상상력을 사로잡았으며, 수세기 동안 수많은 중국의 문양들 또한 페르시아의 장식 문양들 속으로 포함되었다. 금사로 하는 자수와 직물제조가 페르시아 자수기술자들의 특기였으며, 이러한 직물생산은 샤 아바스 1세(1587-1629)가 그의 새로운 수도인 아스파한에 금사로 하는 자수를 특기로 하는 유태인 직공들의 전체 지구를 세운 후에 더욱 활발히 이루어졌다. 예복(禮服)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209 첨부파일 0 예복(禮服)오트만 터키, 19세기 148.0cm(w) × 106.0cm(l) 오스만 터키인들이 14, 15세기에 비잔틴 제국을 점령했을 때 그들은 천년 동안 고급 견직물을 생산해 오던 양잠업과 견직물 제조업을 물려받았다. 역사학자 프로쿠피우스는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덕분에 수사들이 인도에서 콘스탄티노플로 누에알을 빼낼 수 있었고 그리하여 양잠업이 생겨날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되었다고 적고 있다. 한편, 429년에 수집된 중국 서적인 상우지는 누에가 비잔틴 시리아에서 이미 키워지고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오스만 점령기에 버사 도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실크 시장 중 하나를 가지고 있었고 금사로 된 자수뿐 아니라 정교한 견사 자수생산으로도 유명하였다. 오트만의 후원 아래 직물 예술가들은 페르시아, 이태리, 중국과 다른 나라들에서 받은 영향과 터키의 직물 요소를 혼합한 독특한 스타일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탕카(唐卡)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192 첨부파일 0 탕카(唐卡)몽골(蒙古), 19세기 66.0cm(w) x 80.0cm(l) 불교 사원의 집회장에 전시되거나 종교 행렬에서 운반되는 그림이 들어 있는 탕카는 대중에게 믿음을 설명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대다수의 탕카가 광물의 안료로 그려졌음에 반해, 가장 비싸고 정교한 탕카는 견사로 형상물의 수를 놓거나 짜서 만들어지는 것이었다.몇몇 규모가 큰 사원들은 승려와 비구니, 독실한 신도들이 종교의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건들을 만드는 자수 공방을 가지고 있었다. 불교신자들에게 수 작업은 일종의 신앙생활로 여겨졌으며, 이 작품과 같이 자세한 탕카의 디자인이나 자수 작업에 할애되는 엄청난 시간은 이것을 만드는 사람에게 영적인 안정을 가져다 주는 것이었다. 이 탕카는 인도의 고대 신 바쉬라바나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도교법복(道敎法服)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178 첨부파일 0 도교법복(道敎法服)중국(中國), 청대(淸代) 153.5cm(w) × 127.0cm(l) 당시 자수품들 가운데 기술면에서 가장 화려하며 시각적으로도 화려한 것은 도교 승려들이 종교의례나 의식을 거행할 때 입었던 장의라고 불리는 것이었다. 12세기 송대의 무덤에서 청의 장의와 매우 흡사한 도교의복이 하나 발견되기도 하였지만, 네모지고 소매가 없으며 길이가 긴 이 의복은 고대의 의복형태를 따랐을 수도 있다. 청대의 대다수 장의가 그러하듯이, 이 의복도 별과 하늘의 문으로 상징되는 가르침과 함께 구름, 햇살, 태양, 달에 둘러싸인 불교사원의 탑을 묘사하였다. 이렇게 금사로 수놓은 도안 옆에는 도교의 신들과 함께 용, 호랑이, 코끼리와 같이 방향과 관련이 있거나 보호의 의미를 지닌 동물들이 붉은 색, 파란 색, 금색의 배경위에 원문(圓紋)안에 묘사되어 대칭적으로 수놓아져 있다. 세로 선으로 된 가장자리에는 위(魏)진(晉)에서 온 삼중음자를 대체하는 도교의 여덟 신의 형상이 금사로 수놓아져 있으며, 그와 마주보는 아래쪽의 가장자리에는 바다에서 떠오르는 산 위를 날아오르는 용이 형상화 되어있다. 조복과 마찬가지로, 도교 의복도 널리 인정된 상징적인 문양을 보편적인 질서와 우주의 조화라는 개념에 결합시켜 놓았다. 양면자수부채 (兩面刺繡扇)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370 첨부파일 0 양면자수부채 (兩面刺繡扇)중국(中國), 청대(淸袋) 26.8cm(d) 둥근 부채의 앞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새와 꽃이 바위와 소나무를 배경으로 표현돼 있는데 양면의 모양이 같도록 세심하게 작업 되어 있다. 이처럼 극도로 어려운 작업은 청 말기 중국 도심지역의 대규모 상업 자수 공방에서 행해졌다 연잎 위의 소녀상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175 첨부파일 0 연잎 위의 소녀상중국(中國), 청대(淸代) 17세기 34.3cm(w) x 66.0cm(l) 물에 뜬 연잎 위의 소녀를 묘사한 자수 병풍 중 한폭이다. 이 병풍에서 묘사된 소녀가 입고 있는 옷은 장식적 자수 기법을 능숙하게 발휘하여 실제 능라의 외양과 질감을 살려낸 것이다. 소녀의 머리장식은 섬세한 인모 실로 표현한 것으로서, 최고의 사실주의를 추구한 송나라 궁정 자수 기술자들의 혁신이었다. 소녀의 오른편에 피어나는 흰 연꽃은 씨처럼 조그만 진주알로 꾸며져 있다. 여성경극의상(女性京劇衣裳)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207 첨부파일 0 여성경극의상(女性京劇衣裳)중국(中國), 19세기108.7cm(w) x 191.7cm(l) 젊은 여성의 극 의상이다. 이 극 의상은 정교한 구름 모양의 깃, 붉은색 상의와 주름치마를 입었던 여성 혼례복 양식을 강조하여 표현한 것이다. 중국의 연극은 배경 무대나 무대장치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관중들의 관심이 화려한 배우들의 옷에 초점이 가도록 하였다. 단결-잉어도 병풍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226 첨부파일 0 단결-잉어도 병풍한국(韓國), 20세기, 정영양 作429.2cm(w) x 198.5cm(l) 우아하게 헤엄을 치는 물고기는 부, 풍요로움, 그리고 단합을 상징하는 것으로 동아시아 회화와 장식 미술에서 즐겨 쓰이는 문양이다. 작가는 6.25내란 후 1960년대에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이 작품을 제작해 줄 것을 위임받았는데 이때는 한국 정부가 시각 예술을 통하여 한국 민족의 통일에의 열망을 표현하고자 했던 시기이다. 물고기는 무리를 지어 이동하므로 한 무리의 물고기로 일체감을 통한 화합의 정신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물고기 무리가 유영하고 있는 수초(水草)의 표현은 솔잎수 자수법을 인용하여 물풀자수법을 시도한 것이다. 여러 형의 이음수로 각 풀의 넓이를 조정하여 깃털 같은 물풀의 움직임에 생동감을 더하였다. 작가가 직접 발수한 물풀자수법을 통해 수초의 사실적인 효과를 내었다. 윤기가 없는 폴리에스터를 바탕천으로 하여 주 문양인 잉어의 무리를 돋보이게 하였다. Polyester culture는 60년대에 유행한 것으로 이 작품에서 그 시대성을 찾아볼 수 있다. 통일-무궁화도 병풍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694 첨부파일 0 통일-무궁화도 병풍한국, 20세기, 정영양(鄭英陽) 作489.0cm(w) x 215.3cm(l) 우리나라 국화인 무궁화는 더운 여름에 피기 시작하여 오랫동안 그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과시하는 꽃이다. 한국 지도를 밑그림으로 택하여, 남북을 꽃의 색으로 구분했다. 오른편의 분홍색 꽃은 북한을 상징하고 흰색 꽃은 남한을 의미한다. 눕혀놓은 우리나라 지면을 가로지른 거대한 나무 둥지는, 남과 북의 통일을 염원하는 작가의 마음이다. 무궁화 꽃잎은 전통 수법으로 수놓았는데 손으로 꼰 세 가지 두께의 실로 수놓았다. 꽃잎 안쪽은 가장 가는 실로 수놓았고, 점차적으로 굵은 실로 꽃잎의 외곽을 마무리 하였다. 특히 꽃잎의 사실적 묘사를 위하여 수를 하기 전에 솜으로 심을 넣어 그 위에 수를 놓았다. 나무 둥지의 거칠음을 표현하기 위해서, 실의 꼬아 놓는 특별한 테크닉(textured thread)을 택했다. 작가에 따르면, 1인치 스퀘어는 두 시간 내지 세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용국문축제흉배(龍菊節日補子)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213 첨부파일 0 용국문축제흉배(龍菊節日補子)중국(中國), 명대(明代)39.0cm(w) x 40.5cm(l) 마름모꼴의 납사수 바탕 위에 무늬가 있는 금실로 수놓아진 반짝거리는 용과 평수로 수놓은 국화를 특징으로 하는 이 흉배는 음력 9월에 열리는 국화꽃 축제 기간에 의복에 달았다. 삼품무관호문흉배(三品武官虎紋補子)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192 첨부파일 0 삼품무관호문흉배(三品武官虎紋補子)중국(中國), 청대(淸代)27.2cm(w) x 26.8cm(l) 18세기에는 중국 흉배에 직조와 수를 놓은 후 붓으로 덧칠하는 방법이 인기가 있었다. 이 흉배는 두 가닥의 푸른 견사로 짜여져 있고, 배경은 금사의 씨실로 직조되었으며, 도교의 상징과 호랑이의 얇고 미세한 줄무늬는 검은색 잉크로 그려져 있다. 오품문관백한흉배 (五品文官白鷴補子)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206 첨부파일 0 오품문관백한흉배 (五品文官白鷴補子)중국(中國), 청대(淸代) 24.0cm(w) x 23.0cm(l) 18세기에 중국의 수놓는 사람들과 직공들은 흉배에 다양한 상서로운 상징물들을 표현하기 시작했다. 한편, 흉배를 착용하는 사람의 계급을 나타내던 새와 동물들은 그 크기가 줄어들었다. 일품문관선학흉배 (一品文官仙鶴補子)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195 첨부파일 0 일품문관선학흉배 (一品文官仙鶴補子)중국(中國), 청대(淸代) 27.8cm(w) x 28.0cm(l) 이 흉배는 솔기가 없이 금사징금한 바탕이 특징이다. 이것은 옹정제 통치 기간 특히 유행했던 자수 기술이다. (r. 1722-1735) 추바식용포(龍袍)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176 첨부파일 0 추바식용포(龍袍)중국직물을 티벳에서 재단함, 17 세기182.0cm(w) x 143.0cm(l) 이 복식은 명나라와 청나라의 궁중 여성들이 입었던 민소매 조끼가 티베트에서 변형된 것이다. 용과 천상의 풍경이 묘사된 방식은 이 의상이 명과 청의 과도기에 만들어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용포(龍袍)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196 첨부파일 0 용포(龍袍)중국(中國), 청대(淸代), 19세기206cm(w) x 138cm(l) 황제와 그 측근들은 특정한 색을 특정 방위, 요소, 계절 등과 연결한 오방색 철학에 의거하여 천단(天壇), 즉 기년전(祈年殿)에서 제사를 드릴 때는 청색을, 일단(日壇)에 제사 드릴 때는 적색을, 월단(月壇)에 제사 드릴 때는 밝은 청색을, 그리고 지단(地壇)에 제사 드릴 때는 황색 옷을 입었다. 파란색 의상은 중국의 농민들이 비를 기원하는 의식인 천단제에서 황제가 입었다. 자수문방구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177 첨부파일 0 자수문방구중국(中國), 청대(淸 代) 17세기34.2cm(w) x 65,7cm(l) 정교하게 수놓인 이 작품은 피어나는 작약을 담고 있는 용 문양 청화백자화병과 능라로 감싼 상자, 탁자 위에 놓인 향로, 향통, 그리고 두 개의 돌돌 말린 두루마리 족자 등, 품위 있는 학자의 전형적인 서재 용품들을 보여주고 있다. 자수가는 장식적인 바느질을 사용하여 묘사된 여러 물건들에 대해 극도로 사실적인 표면 질감과 세부 문양들을 살려냈다. 처음 12 1 2 다음 페이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