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840 RSS 2.0 36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검색어 입력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온라인보고서]흥완군의복 보존처리 완공 보고서 작성자 박물관 조회 413 첨부파일 1 국가지정문화재 제121호 <흥완군 의복 보존처리> 완공 보고서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은 문화재청 주관 국가지정문화재 보수정비 사업으로 국가민속문화재 제121호 흥완군 의복류 16건 16점을 보존처리하였다. 2021년 4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정재문화재보존연구소에서 보존처리를 진행하였으며 보존처리 과정을 기록한 완공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목차]1.과제개요2.유물연혁3.유물 조사방법4.각 유물별 처리 내용5.유물특성 조사결과6.직물특성 조사결과7.자문회의8.화보 및 도식*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시면 보고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리플렛]시대를 개화하다, 꽃 작성자 박물관 조회 478 첨부파일 1 2021년 대학박물관 진흥지원 사업 <시대를 개화하다, 꽃>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은 2021년 대학박물관 진흥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시대를 개화하다, 꽃> 전시를 개최하였다. 이 전시는 오얏꽃, 무궁화, 매화의 세 가지 꽃을 통해 전통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시대상을 살펴본다. 리플렛에는 오얏꽃, 무궁화, 매화가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 세 가지 꽃이 장식된 유물을 소개하였다.주최: 문화체육관광부주관: (사)한국대학박물관협회시행: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2021년 발행 * 첨부파일의 리플렛을 다운로드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도록]한국의 색, 어제와 오늘 작성자 박물관 조회 667 첨부파일 1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2021년 발행 카자흐스탄어, 러시아어, 영어 전체 72쪽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주관하는 트래블링 코리안 아츠 사업의 일환으로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주카자흐스탄한국문화원이 공동으로 개최한 전시도록이다. 한국의 전통 공예품과 현대 공예작품을 색이라는 주제로 풀어내어 카자흐스탄 현지에 소개한다. [목차]GreetingKorean Colour, Yesterday and TodayRedBlueYellowBlack and White Participaing Artists*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시면 도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리플렛]현대의 담론-이방인의 메아리 작성자 박물관 조회 508 첨부파일 1 2020년 대학박물관 진흥지원 사업 <공존: 전통과 현대의 담론>현대의 담론-이방인의 메아리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은 2020년 대학박물관 진흥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공존: 전통과 현대의 담론> 전시를 개최하였다. 전시는 <전통의 담론-삶·기원>, <현대의 담론-이방인의 메아리> 두 주제로 진행되며 전통 공예작품과 현대 미술품을 통해 전통과 현대에 이어진 공존의 의미를 짚어보는 전시이다. 이방인의 메아리 리플렛에는 담론-가치, 지속-실현, 장엄-공감 세 파트로 나누어 이방인의 삶을 경험한 작가의 작품을 소개한다. 나현, 베레켓 알례마예후, 송지형, 아이야 네메딘, 우정아, 이주영, 조민선, 토마스 아샤미, 프로젝트 레벨나인, 한아람 총 10인의 작품과 작가 인터뷰를 수록하였다.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2020년 발행 *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하시면 리플렛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리플렛]전통의 담론-삶·기원 작성자 박물관 조회 576 첨부파일 1 2020년 대학박물관 진흥지원 사업 <공존: 전통과 현대의 담론>전통의 담론-삶·기원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은 2020년 대학박물관 진흥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공존: 전통과 현대의 담론> 전시를 개최하였다. 전시는 <전통의 담론-삶·기원>, <현대의 담론-이방인의 메아리> 두 주제로 진행되며 전통 공예작품과 현대 미술품을 통해 전통과 현대에 이어진 공존의 의미를 짚어보는 전시이다. 전통의 담론 리플렛에는 사랑, 기원, 생활로 나누어 오랜 세월 내려온 보편적인 '공존'의 의미를 살펴본다. 전시유물과 현대조각가 문신, 현대섬유예술가 조예령의 작품을 함께 소개하였다.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2020년 발행 *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하시면 리플렛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도록]Korean Craft, Yesterday and Today 작성자 박물관 조회 580 첨부파일 1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2018년 발행 영문 전체 80쪽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주관하는 2019 트래블링 코리안 아츠 사업의 일환으로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주미워싱턴한국문화원이 공동으로 개최한 전시도록이다. 박물관 소장 목공, 도자, 서화, 복식 유물과 현대 공예 작가 및 미디어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목차]인사말서문전통 - 조선조 사대부의 아취 도자 목공 복식현대 - 희고 푸른 한국의 정서 한국의 선線 밤의 문지방참여작가 *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시면 도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도록]심상: 한국의 색 작성자 박물관 조회 667 첨부파일 2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2018년 발행 국중문 전통(Traditional) 45쪽, 현대(Contemporary) 41쪽2018 Traveling Korean Arts 사업의 일환으로 주중한국문화원 · 북경복장학원 민족복식박물관과 공동으로 개최한 ‘심상: 한국의 색’ 전시도록이다. ‘전통(Traditional)’과 ‘현대(Contemporary)’ 2권으로 구성되어 숙명여대박물관의 소장품과 그 유물에 영감을 받은 국내 섬유예술가들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목차]1부 心象: 한국의 색-Traditional인사말서문의례복한국자수한국문양 2부 心象: 한국의 색-Contemporary인사말서문색으로 연계한 전통과 현대전통의 재해석참여작가 *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시면 도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도록]남아공 수교특별전 도록 Traditional Korean Women’s Liv 작성자 박물관 조회 636 첨부파일 1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2018년 발행 영문 전체 57쪽남아프리카공화국 국립디트송문화사박물관과 공동으로 개최한 ‘Art is Connected: Korean and South African Women’s Cuture’ 전시도록으로 한국 여성들의 삶을 잘 보여주는 숙명여대박물관 소장품이 수록되어 있다.[목차]GreetingOverviews Women’s Life – SpaceWomen’s Life – ClothingWomen’s Life – Decoration Symbols and Meanings of East Asian Patterns*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시면 도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도록]삶의 향연 작성자 박물관 조회 554 첨부파일 1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2018년 발행 국영문 전체 275쪽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유물 중 명품선 만을 골라 ‘도자, 서화, 목공예, 장신구, 금속, 복식, 자수’ 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이번 도록은 간편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핸디북 형태로 제작되었다.[목차]도자서화목공예장신구금속공예복식자수*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시면 도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자수 어제와 오늘 작성자 박물관 조회 660 첨부파일 0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저, 2016년 미진사 발행 국문 전체 164쪽2000년도에 발간되어 우리나라 자수역사를 보여준 『한국 자수의 어제와 오늘』이 2016년에 리뉴얼되어 미진사에서 발간되었다.[목차]서문문헌으로 본 자수의 역사전통자수 - 흉배 후수 궁중자수 생활자수 병풍근현대자수 - 근현대자수자수문양에 나타난 상징자수의 기법동양자수의 역사적 고찰주석, 참고문헌 品-Power of Gentleness 작성자 박물관 조회 513 첨부파일 0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2016년 발행 국영문 전체 151쪽숙명 창학 110주년 기념 특별전 ‘品’ 전시도록으로 한국 현대 공예를 조망하는 논고와 전시에 참가한 한국 현대공예작가 38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목차]발간사 숙명 창학 110주년 기념전시 "品" - 이 땅의 수공정신공예의 미래를 묻다: 빅토리아 앤 알버트 박물관 기획자와의 인터뷰공예의 품격에 대하여전통 공예품은 우리에게 무엇을 보여 주는가 근대 이후 한국공예의 현황과 흐름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의 소장품으로 본 한국 공예의 흐름 "品" 心 - 사물의 심리적 가치術 : 사물의 상상技 : 手工의 미덕 神 - 사물의 정신적 계승작가 프로필 [온라인도록]女人, 삶과 생각 작성자 총관리자 조회 667 첨부파일 1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2014년 발행 국영문 전체 82쪽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신축 이전 10주년 전시회를 기념하는 도록으로 여인들의 삶을 재조명하는 유물들이 수록되어 있다. [목차]Ⅰ.발간사 Ⅱ. 서문Ⅲ. 차림,옷과 방 Ⅳ. 생각,글과 그림 V. 꾸밈,자수와 바느질 <女人,삶과 생각> 전 한글 문헌 해제Ⅵ. 한글편지와 내방가사 - 김용숙 숙명여대 명예교수Ⅶ. 자손보전 子孫寶傳 - 김일근 건국대 명예교수Ⅷ.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한글 편지 - 이종덕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문생활사연구소 전임연구원*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시면 도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처음 13 1 2 3 다음 페이지 끝